본문 바로가기

간호/감염관리

매독 Syphilis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반응형

매독

 

매독에 대해서 알아보자.

 

피부의 궤양이 매화꽃 같은 모양이라고 해서 매독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매독이란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질환으로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매독균이 사라지지만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잠복매독으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잠복매독이 신경매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매독
이미지 출처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원인

- 매독균 ( treponema pallidium ) - 열, 건조, 세척에 쉽게 파괴

- 잠복기는 10~90일 ( 평균 21일 )

- 주로 성 접촉에 의해 전파

-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태아에게 직접 전파

 

 

 

증상

연성하감

- 원인균이 성기를 통해 전파 시 성기 주위에 통증이 없는 궤양(연성하감)

  입술, 유두, 손, 구강, 항문, 직장에 출현, 국소 림프절 비대, 감염성이 높고 6주 후 소실

   -> 1차 매독 :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

 

- 원인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면 발진, 감염 후 6주~6달, 전신증상

  편평콘딜로마(condylomata lata), 유행성 감기와 유사, 권태감, 미열, 두통, 근육통

  신체 발진 1~3개월 사이 소실

   -> 2차 매독 :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

 

- 2차 매독은 3차 매독으로 진행하거나, 잠복매독 상태에서 1년~수년간 증상이 없다가 

  심혈관 매독(동맥염), 뇌 신경 매독으로 발현, 고무종(gummas), 유산, 선청성 매독

  -> 3차 매독

 

- 잠복매독은 무증상으로 혈액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다수

  -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은 성관계 등의 과거력 확인요함

 

 

 

진단

매독 검사의 종류는 트레포네마 검사, 비트레포네마 검사로 나뉜다.

= 트레포네마 검사 : 원인균인 Treponomal pallidum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를 측정하는 검사

                          ( FTA-ABS , TPHA , TPPA , CIA , EIA )

= 비 트레포네마 검사 : 매독균에 감염된 후 사람 몸에서 생성이 되는 자가항체를 측정하는 검사

                              ( VDRL , RPR )

- 최근에는 트레포네마 검사로 선별을 하고 양성인 경우

  비 프레포네마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동시에 시행하기도 함.

  양성으로 확진된 후에는 비 프레포네마 검사로 추적관찰한다.

 

매독 검사결과 해석

1) Treponemal test Nontreponemal test가 모두 양성이 나온 경우

   : VDRL이나 RPR 수치에 따라서 판단한다.

   : 1:16 이상의 경우 치료가 필요한 최근 감염이라고 생각하고 1:8 이하의 경우 치료받은 과거의 감염일 가능성이 높다.

2) Treponemal test에서 양성이고 Nontreponemal test가 음성일 경우

   : 대부분 치료받은 매독이다.

3) Treponaml test에서 음성이고 Nontreponemal test에서 양성인 경우

   : EIAFTA-ABS 등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한다.

매독검사

 

- 매독은 선별검사인 혈액검사 ( VDRL 검사, RPR)에서 양성판정

    - VDRL :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의 약어 - 민감도가 높고, 특이도가 낮음

               - cardiolipin lecithin 항원과 탄소 입자를 환자 혈청과 혼합 반응하여 응집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법

               - 정성검사 reactive / non - reactive 두가지로 결과확인

               - 정량검사 수치로 결과 확인

    - RPR : Rapid plasma reagin - 항원에 대한 검사, 선별검사에만 사용

               - titer가 높은 경우 active

               - titer가 낮은 경우 위양성 or late disease를 의미

               - 매독반응역가검사 : 치료 시작 전에 실시, 4개월 동안 4배 이상 titer가 감소 시 치료에 반응있는것으로 판단

    - VDRL 검사와 RPR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고 매독 진단을 내리지 않고 확진검사를 시행하여 진단

 

- 매독균에 대한 특이검사 ( FTA-ABS or TPHA ) 시행하여 확진

    - FTA-ABS : 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 (형광 트레포네말 항체 흡수)

                   - 가장 민감하고 특이도가 높은 검사

                   - 매독 2기 이후 양성 으로 나타내며, 매독을 앓은 경험이 있다면 평생 양성 반응

                   - 2기 매독 전에는 매독 진단 어려움 -> 1기 매독 진단도 가능한 PCR 검사와 함께 활용 시 유리

                   - FTA ABS IgG :  매독의 초기 진단과 치료 판정에 유용

                                         positive - 한번 매독을 앓은 경험이 있음을 의미

                                         * IgG는 과거에 병을 앓았던 경험이 있음을 의미

                   - FTA-ABS IgM : 현재 매독균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

                                         현재 감염 또는 과거감염 및 치료 후 환자에게 검출

                                         positive - 최근 매독을 앓은 경험이 있음을 의미

                                         * IgM은 가까운 시간 내의 항체 : 현재 활성 여부 확인에 유용

    - THPA : treponema pallidium hemagglutination assays ( 트레포네마 팔리듐 혈구응집 분석 )

                - 음성이 정상

                - 치료 후에도 음전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

                (음전: culture에서 어떤 균이 동정-> 항생제 치료 후 culture결과가 no growth로 확인되면 음전되었다함)

- 무증상 신경 매독 확진을 위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음.

 

 

 

치료

- 매독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

- Penicillin (대체치료제 Doxycycline 권장 - 조기매독과 후기잠복매독에서 페니실린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 )

   - 1기, 2기, 초기 잠복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할 수 있음. 임신기에도 효과적

   - 후기 잠복 매독은 중추신경계로까지 침범되지 않았다면 3주간 일주일에 한번 씩 페니실린을 주사하여 치료

- 신경매독은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 - 10~14일간 시행, 주기적인 혈청검사, 뇌척수액 검사(3년동안)        

- Tetracycline, erythromycin

- VDRL과 RPR 검사 결과를 통해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Nontreponemal test 시행)

   : 치료 후 4배 이상 역가가 감소하면 치료에 적절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해석

   : 치료 후 역가가 4배 이상 증가하거나, 6개월이 지나도 4배 이상 감소하지 않거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재치료 고려

   : 참고로, 잠복매독의 경우 역가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치료를 해도 크게 감소되지 않음.

 

매독치료

매독검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