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감염관리

다제내성균 환자 관리지침 , 다제내성균 환자 간호

반응형

다제내성균 관리지침

 

다제내성균(=항생제 내성균)은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해.

슈퍼박테리아라고도 불리는데 

치료약제가 거의 없고, 입원일수 장기화, 그에 따라 의료비용이 늘어나고, 치사율도 높아져서

임상적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오늘은 우리 엔찡이들이 다제내성균 환자들을 간호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자!

 

 

격리주의 지침에는

가장 기본적인 표준주의가 있고,

전파경로별로 접촉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가 있어.

거기에 두가지를 더 추가하면! 역격리, 혈액주의까지 총 6가지야

 

 

일단 우리는 모든 환자들을 확인되었거나, 확인되지 않은 미생물 감염 위험성을 대비하기 위해

표준주의를 적용해서 간호하는 게 좋아.

 

그럼! 다제내성균 환자는 어떤 격리주의 지침으로 간호해야 할까?

기본적인 표준주의와 함께 접촉주의를 추가로 적용해서 간호해야해!

 

 

격리주의지침 적용과 격리시작은 언제?

모든 환자는 기본적인 표준주의를 지킨다고 했는데

그럼 대체 언제 접촉주의를 추가로 적용시켜야 할까?

 

과거입원(3개월 이내)에서 의료감염병 6종의 검사결과가 양성인 경우에는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하며 그 중 VRSA, VRE, CRE는 선제격리를 시행해.

단, 최초 선별 검사는 즉시 시행하고 1~2일 이후에 반복 검사를 해.

 

환자에게서 어느부위에서든 균이 분리되는 경우에 환자는 가능한 한 1인실에서 격리를 시행해.

바로 그때 접촉주의도 함께 추가로 적용시켜주면 돼!

 

1인실 격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동일한 내성균이 분리되는 환자끼리 코호트격리를 시행해야하고

, VRSA1인실 격리를 시행해야 해.

 

 

격리해제는 언제할까?

그럼 격리 했던 환자들의 격리해제는 언제해야 할까?

원래 분리되었던 부위와 보균검사에서 3~1주 간격으로 검사를 시행해서 연속 3회 음성 시 해제하고,

원래 분리되었던 부위의 검채채취가 어려운 경우에는

(뇌척수액, 늑막액, 복수액 등)와 혈액에서 분리된 경우는 보균검사만 실시해^^

과거입원(3개월 이내)에서 균이 분리되어 선제격리를 시행중인 환자는

1~2일 간격으로 시행한 감시 배양에서 2~3회 음성 시 격리를 해제해.

 

 

표준주의

 

표준주의

손위생은 기본!

 

장갑은 환자 접촉 전 손 위생 후 장갑을 착용하고 , 환자 접촉 행위 종료 후 장갑을 벗고 손위생 수행

 

가운은 다음의 경우 착용하자!

  -  환자, 환자 주의환경, 환자방의 물품과 직접 접촉 시

  -  드레싱으로 덮이지 않은 큰 개방 창상이 있는 경우

  -  분비물이나 배설물이 다량으로 있는 경우

  -  환자와 장시간 밀접한 접촉을 해야 하는 경우

 

마스크는 호흡기 분비물이 튈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착용

 

** 격리병실에 상주하는 보호자는 가운을 착용시켜야 해.

 

 

물품 및 환경 관리

손소독제, 일회용장갑 및 가운 등을 준비하고 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등 개별 물품을 사용해야해.

사용한 의료기구는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수거, 소독하고, 

공용으로 사용하는 의료기구는 다른 환자 사용 전 제조사 지침에 따라 소독해줘야 해.

 

 

격리환자의 이동

환자의 검사나 병실 밖이 동은 최소한으로 해야하고, 

이동이 불가피한 환자는 

환자는 환의를 교환하거나 덧가운을 착용시켜야 해.

개방창상은 드레싱으로 덮어 분비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검사나 재활치료 등 환자를 이송 받을 부서에 사전 고지를 해주는게 좋아.

이송용구 (휠체어, 이동카트, 보행기 등)은 사용 후 바로 소독하고, 손위생을 시행해야 해.

 

의료폐기물 관리

격리실에 의료 폐기물 용기를 두고 의료폐기물 (일회용장갑, 거즈, 비닐가운, 알코올 솜, 수액세트등)을 함께 수거해야 해.

의료폐기물 용기 외에 병실에 의료폐기물이 적제되어 있지 않도록 주의해줘.

 

세탁물 관리

세탁물은 검은 비닐봉지에 담아 감염표기 후 오염세탁물함에 분리수거해주고,

세탁물을 이동, 세탁하는 과정에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

 

환경관리

내성균 환자가 자주 접촉하는 주변 환경표면과 병실바닥을 하루에 1번 이상 소독하고,

퇴원 후는 환경표면 전반의 소독을 시행하고, 환경소독 점검표를 이용하여 점검해줘!

 

 

 
반응형